Logo
i
>> 글 이어보기 <<
알리 택배 언제 받을 수 있을까요 운송장번호 597138087176토요일 전으로 올까요.. 멈춰있어요ㅠ
중국 패키지 여행 혼자가는데요 3박4일 싱글차지비까지 포함해서 117만원들어요노쇼핑노팁노옵션이라 비싸긴해요너무 비싼가요?
라이엇 계정 탈퇴의 영향은 무엇인가요? 라이엇 계정을 탈퇴할 때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해 궁금합니다. 계정
지거국 일반 편입 충남대 국제학과 일반편입으로 지원하고 싶은데토익이랑 학점 어느 정도여야 될까요?
면세 인천공항면세점에서 75만원정도되는 물품 구매하고 일본왔는데 혹시 인천공항 면세점에서 쓴돈까지ㅜ포함해서 남은가격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하고 싶은 일과 적성이 다를 때.. 다들 하고 싶은 일과 적성이 다를 때 어떻게 결정하시나요? 어릴
위에 글 이어보기 클릭하면 더 볼 수있어요
하고 싶은 일과 적성이 다를 때.. 다들 하고 싶은 일과 적성이 다를 때 어떻게 결정하시나요? 어릴
다들 하고 싶은 일과 적성이 다를 때 어떻게 결정하시나요? 어릴 적부터 베이킹에 관심이 많아서 베이커리쪽으로 진학과 진로를 잡고 싶었지만 부모님의 반대로 방향을 틀었습니다.적성검사를 통해 공무원 같은 계열의 사무직이 적성에 맞는 것을 알게되어 관련 직종에서 근무를 해왔습니다. 하지만 한 회사에 정착하지 못하고 이곳저곳 떠돌며 다양한 업종에서 근무해봤지만 퇴사를 할때마다 베이커리에 대해 공부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계속 들었습니다.이번에 회사의 경영난으로 구조조정을 당해 실직에 들어가 다시 베이커리를 공부해보고자 했으나 부모님께서는 빨리 취업하는 게 우선이지, 무슨 다시 베이커리냐고 하시네요저 역시 지금까지 사무직으로 근무하며 취업을 한다면 그동안의 경력을 바탕으로 사무직으로 다시 취업을 할 수 있을거라 생각하지만 여전히 미련이 남고, 노년의 모습을 상상하면 회사에서 일하는 모습이 아닌 카페에서 일하고 있는 모습만이 그려집니다.개인적인 욕심으로는 역시 다시 베이커리를 공부하고 싶지만, 공부에 필요한 비용이 생각보다 많아 부모님께 여쭤보니 여전히 반대가 심하시네요...부모님의 응원과 함께 일을 하고 싶은데...어떻게 해야 할지..어디다 하소연 할 곳이 없어 여기에 적네요...다른 사람의 조언도 들어보고 싶습니다.
i
충분히 고민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네요. 하고 싶은 일과 현실적인 문제(부모님의 반대, 경제적 부담)가 부딪힐 때는 누구나 고민할 수밖에 없죠.
지금까지 사무직으로 일해왔고, 다시 취업하려면 사무직이 가장 빠른 길이라는 점은 이해가 돼요. 하지만 퇴사할 때마다 베이커리에 대한 미련이 남았고, 노년의 모습을 상상할 때도 베이킹 쪽이 떠오른다는 점이 중요해 보여요. 결국 진짜 원하는 것은 베이커리 쪽이 아닐까요?
몇 가지 현실적인 접근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아요.
베이커리를 부업으로 시작해보기
지금 당장 사무직 취업을 해서 생활을 안정시키고, 주말이나 저녁 시간을 활용해 베이킹을 배워보는 거죠.
소규모로 베이킹을 만들어 온라인이나 SNS에서 판매해보는 것도 방법이에요. 직접 해보면서 현실적으로 사업이 가능한지, 본인과 잘 맞는지를 확인할 수 있을 거예요.
베이킹 관련 아르바이트나 단기 과정 참여
제과제빵 학원은 비용이 꽤 들어가지만, 단기 과정이나 체험 과정도 많아요.
카페나 베이커리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직접 경험을 쌓아볼 수도 있어요. 직접 해보면 "정말 이 일이 나와 맞는가?"를 확인할 수 있을 거예요.
부모님을 설득하는 단계적 접근
부모님 입장에서 보면 "안정적인 길을 두고 왜 모험을 하려 하느냐"가 가장 큰 걱정이실 거예요.
그래서 당장 베이커리를 전업으로 하겠다고 하기보다, "일하면서 배우겠다", "자격증을 따서 부업으로 시작해보겠다" 같은 현실적인 계획을 제시하면 반대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어요.
베이커리 업계의 현실, 수익 구조 등을 조사해서 부모님께 구체적인 플랜을 보여드리는 것도 방법이에요.
장기적인 목표를 세우고 단계적으로 접근
당장 베이커리 창업을 목표로 하기보다, "3년 안에 사무직으로 일하며 자금을 모으고, 4년 차에 본격적으로 배우겠다" 같은 장기 계획을 세우는 거죠.
이렇게 하면 부모님도 조금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 거예요.
결국 중요한 건, 본인이 정말 원하는 게 무엇인지 확신을 가지는 거예요.
베이커리를 한 번도 제대로 해보지 못하고 후회하는 것과, 해봤는데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걸 깨닫는 것은 다르거든요. 적어도 후회하지 않도록, 현실적인 방법을 찾아 도전해보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지금 너무 막막하겠지만, 작은 단계부터 하나씩 해보면 길이 보일 거예요.